2022년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가입해야 하는 이유!
300x250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가 2009년 전국 최초로 시작한 서울 희망플러스 통장을 모태로 한 청년 자산형성 지원 사업입니다. 만 18세~34세의 청년이 매월 10만 원, 15만 원을 2~3년간 저축할 경우 서울시 재정으로 저축액의 100%를 추가 적립해 주는 사업입니다.
희망두배 청년통장 상품 요건
- 상품유형 : 매칭적립통장
- 적립방식 : 정액적립식
- 저축(적립) 금액 : 월 10만 원 또는 15만 원
- 최고금리(최대 매칭 금액) : 월 15만 원 매칭
- 만기 시 혜택 : 가입자가 저축하는 금액의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 예산 및 시민의 후원금 등으로 1:1 매칭 하여 적립
- 가입기간 : 2년, 3년
- 이자지급방식 : 만기 일시지급
희망두배 청년통장 지원대상 요건
- 지원대상 : 청년 근로자
- 지원대상 상세 : 아래 요건 모두 충족
공고일 현재 근로하고 있는 자
공고일 현재 만 18세~만 34세 이하 서울시 거주자
공고일 기준 본인 근로소득금액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세전 255만원 이하)
기준 부양의무자(부모 배우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 이하
- 연령대 : 만 18세 이상, 만 34세 이하
- 소득기준 : 근로소득금액 세전 월 255만 원 이하
- 거주지역 : 서울
기타 상품정보
- 제공기관/취급기관 : 서울시 복지재단/서울시
- 문의처 : 다산콜센터 120
- 신청(가입) 방법 : 주소지 동주민센터 방문, 우편 or 이메일 접수
2022년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지원 사업(귀농귀촌 정착지원)
귀농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지원 사업은 귀농인들의 귀농 초기 부족한 자금을 지원하여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농촌의 신규 인력을 육성하고 농촌 지역 경제의 활성화
genuine-guide.co.kr
2022년 가족돌봄휴직 제도
가족돌봄휴직 제도는 가족(부모,자녀,배우자의 부모 등)이 질병이나 사고, 노령으로 인해 돌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휴직 제도입니다. 가족돌봄이 필요한 합당한 사유가 있을 시 연
genuine-guide.co.kr
300x250
'시사&생활정보 > 정부정책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긴급복지 교육지원(초중고 학비지원 제도)지원대상, 선정기준 (0) | 2022.04.05 |
---|---|
2022년 3월 18일, 면세점 구매한도 폐지, 면세한도는 600달러 유지 (0) | 2022.03.17 |
2022년 가족돌봄휴직 제도 (0) | 2022.03.11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0) | 2022.03.07 |
소상공인 300만원 방역지원금 추가지급, 2월 중순이후 지급예정 (0) | 2022.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