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생활정보95

문화 소비할인권 10월 활력충전 하세요~

문화 소비할인권 공연,전시,영화,체육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침제 된 내수시장을 살리고, 국민의 여가문화 확산을 위해 중단되었던 문화 소비할인권 4종을 10월부터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방역관리가 용이한 공연, 전시, 영화, 체육 4개 분야에서 먼저 문화 소비할인권 판매 및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코로나로 침체된 문화, 예술, 체육계에 조금이나마 활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새로이 시작하는 문화 소비할인권 4종 관련 정보 아래에서 확인하시고 필요한 문화 소비할인권 챙기시길 바랍니다. 문화 소비할인권 4종 분야별 정보 문화 소비할인권 4종 관련해 분야별로 체크해 보시죠~. ◈ 문화 소비할인권 - 전시 소비할인권 먼저 전시 소비할인권은 박물관 및 미술 전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화 소비할인권 전시.. 시사&생활정보 2021. 4. 17.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신청 바로가기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신청 안내 2차 재난지원금 중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신청 관련해 정리해봤습니다. 이미 지난달 24일부터 10월 12일까지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2조206억원이 지급되었지만 아직까지 39만명의 소상공인이 새희망자금을 신청하지 않은 상태라고 합니다. 주변에 아직 신청못한 분들이 계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2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신청 방법 및 지원내용 아래에서 확인하시죠.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신청 및 지원내용 2차 재난지원금 소상공인 새희망자금은 총 3조 2천억 원 규모로 291만 명을 대상으로 지원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100~200만 원까지 지원받게 됩니다. 구분 일반 업종 집합 금지업종 집합 제한업종 합계 지원금액 100만원 200만원 150만원 재정소요 2.4조원.. 시사&생활정보 2021. 4. 17.

치유를 돕는 유망자격증, 심리상담사 자격증 온라인으로 쉽게취득

심리상담사는 정신건강이나 정서상의 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에 고통을 받고 있는 대상에게 상담을 통해 과학적이고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심리학적 방법을 이용해 이를 치유하도록 돕는 임상 심리 상담 전문가를 말합니다. 심리상담사 진로 및 전망 급격한 사회변화가 낳은 폐해로 현대인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기에, 이를 치유하는 심리상담사의 역할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이러한 정서적, 정신적 문제를 혼자의 문제로만 생각하고 해결하려 했으나, 심리상담사를 통해 보다 전문적이고 안정적으로 일상을 찾을 수가 있게 되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조사에 따르면 향후 심리상담사의 역할은 더욱 커져 고용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합니다. 심리상담사 고용현황 이러한 심리상담사.. 시사&생활정보/자격증 2021. 4. 16.

2021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건강보험 산정특례 대상질환 확대

2021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건강보험 산정특례 대상질환 확대 2021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2021년부터 달라지는 제도중 보건분야 보험급여 관련 내용입니다. 바로 건강보험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확대됩니다. 건강보험 산정특례 제도의 의미와 2021년부터 달라지는 산정특례 대상질환 확대 관련내용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건강보험 산정특례 제도란? 건강보험 산정특례 제도는 진료비 부담이 높은 중증질환인 암이나 심장 뇌혈관 질환, 희귀, 중증난치, 결핵, 중증화상, 중증치매에 대하여, 건강보험에서 환자가 부담하는 진료비를 경감(진료비 본인부담률 10%로 인하)해주는 제도입니다. 2021년부터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확대되어,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희귀.중증난치 등 질환의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을 인하하여 의료.. 시사&생활정보 2021. 4. 4.

동물학대 처벌강화, 동물학대 신고방법, 반려동물 안전

2월 12일부터 '동물보호법 및 하위법령 개정안'이 시행됩니다. 이번 개정안에는 동물학대 처벌 강화, 맹견 책임보험 가입 의무화, 등록대상 동물 관리 강화, 동물실험 윤리성 강화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동물보호법 개정안 주요 내용과 동물학대 신고방법 알아봅니다. 동물학대 처벌강화 먼저 동물학대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행위에 대해서 3년 이하 징역이나 3천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이는 기존 2년 이하 징역/2천만 원 이하 벌금형에서 보다 강화된 내용입니다. 동물 유기에 대해서는 기존 과태료 300만 원 이하 > 벌금 300만 원 이하로 개정되었습니다. 맹견 책임보험 의무화 실시 맹견 책임보험 의무화 법안은 이번에 신설된 것으로, 빈번한 맹견 관련 사고를 방지하고자 맹견 소유주의 책임보험 의무화를 강.. 시사&생활정보 2021. 4. 4.